카카오스타일, 5년 만에 흑자 전환…연간 매출 2천억 원 돌파

카카오스타일이 2024년 사상 최대 실적을 기록하며 5년 만에 영업이익에서 흑자 전환했다. 스타일 커머스 플랫폼 ‘지그재그’를 운영하는 카카오스타일은 지난해 거래액과 매출이 각각 20% 증가하면서 재무 건전성을 확보했다고 1일 발표했다.

고물가 기조와 패션 산업 침체 속에서도 카카오스타일은 지난해 매출 2,000억 원을 돌파하는 성과를 거뒀다. 이는 2022년 처음으로 1,000억 원을 달성한 이후 꾸준한 성장세를 이어온 결과다. 2023년 1,650억 원이었던 매출이 1년 만에 2,000억 원을 넘어서며 가파른 상승곡선을 그렸다.

특히 주목할 점은 외형 성장과 함께 수익성도 크게 개선됐다는 것이다. 카카오스타일은 2022년 518억 원의 영업손실을 2023년 198억 원으로 대폭 축소한 데 이어, 2024년에는 마침내 흑자로 전환했다. 지난해 에비타(EBITDA, 상각 전 영업이익)는 약 80억 원에 달하는 것으로 집계됐다.

지그재그와 포스티를 합산한 카카오스타일의 거래액은 2조 원에 육박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성장세 뒤에는 신규 구매자 확보가 큰 역할을 했다. 지난해 지그재그의 신규 구매자 수는 전년 대비 40% 급증했으며, 전체 구매자 수도 20% 증가했다.

트래픽 측면에서도 눈에 띄는 성장을 보였다. 카카오스타일 내부 데이터에 따르면, 지그재그의 월간 활성 사용자 수(MAU)는 2024년 1월 400만~500만 명 수준에서 하반기에는 700만 명에 근접했다. 지난해 신규 앱 설치 수는 약 500만 건을 기록하며 누적 설치 수 5,000만 건을 돌파했다.

이러한 성과의 배경에는 빅데이터와 인공지능(AI) 기반의 개인화 추천 서비스, 패션·뷰티·라이프 영역에서의 상품 다양화, 고객별 최적화 마케팅이 있다. 또한 패션 업계 대표 빠른 배송 서비스인 ‘직진배송’의 확장도 1030 여성 고객의 구매 전환율 향상에 기여했다.

카카오스타일은 2025년에도 공격적인 사업 확장을 계획하고 있다. 회사가 보유한 전 연령대 패션, 뷰티, 라이프 분야 고객 행동 빅데이터와 플랫폼 운영 역량을 바탕으로 서비스를 고도화할 예정이다. 개인별 스타일 정의를 세분화하고 이를 기술과 연결해 초개인화 플랫폼으로 진화시키는 한편, ‘인스타그래머블’한 상품 입점을 확대해 고객 경험을 향상시킬 계획이다.

“2025년은 ‘K-커머스’의 새로운 패러다임을 제시하는 전환점이 될 것”이라고 카카오스타일 김영길 CFO는 전망했다. 그는 “카카오스타일은 초개인화된 AI 추천, 콘텐츠형 커머스 고도화 등을 통해 고객에게는 가장 직관적이면서도 즐거운 쇼핑 경험을, 판매자에게는 성장을 통한 매출 레버리지 효과를 제공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error: 더블클릭 금지!!